[스크랩] [방어할 두려움 없는 자유] - 여래출판사 출간 순일원장스님의 [방어할 두려움 없는 자유]가 여래출판사에서 새로이 출간 되었습니다. yes24와 교보문고 등 대형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으며 e-book으로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방어할 두려움 없는 자유저자순일스님 지음출판사여래 | 2013-09-10 출간카테고리종교책소개삶에 지친 이들에..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9.19
삼매 - 제14장 텅빈삼매와 외연삼매의 차이점-3 둘<삼매에 드는 것과 개아를 소멸하는 길>은 다르지 아니한 것이 개아가 더 소멸하면 할수록 더 깊은 무심삼매에 들며 그러다가 다시 생각으로 돌아오면 많은 개아가 소멸한 것을 알게 되며, 미세하게 남은 개아를 더 소멸하게 된다. -이러하게 텅빈삼매와 외연삼매가 쌍수로서 꼭지..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3.14
삼매 - 제14장 텅빈삼매와 외연삼매의 차이점-2 요약하면 무심이라는 티끌하나 없는 전체의 거울에, 세상은 있는 그대로 비추어지고 나아가서 '봄'만이 존재하게 된다. 텅빈삼매는 뒤에 더 깊어지는 고요, 지극한 평화, 온전한 각성상태, 청정심의 깊이에 의하여 파악된다. -외연삼매는 물아일체(物我一體)부터 우아일체(宇我一體)까지..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3.01
삼매 - 제14장 텅빈삼매와 외연삼매의 차이점-1 제14장 텅빈삼매와 외연삼매의 차이점 -텅빈삼매라는 것이 이치와 방법(무심상태에 드는 것에 무슨 이치와 방법이 있느냐고 의문이 들 수도 있지만, 그 이치와 방법이 반야심경에도 있다)을 알고 그 상태에 들었다면 그 후 그러한 방법으로 자주 그러한 상태에 들 수가 있다.<텅빈삼매..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2.28
삼매 - 제13장 무심삼매에서는 생각이 다 끊어진다-2 위에서 잠시 여정을 살펴보았다. 즉 여정은 다음과 같다. -큰 번뇌 사라지고 작은 번뇌 사라지고 선험적 자동생각 사라지면 일심상태 거쳐서 무심상태 된다. 무심상태에서 참나가 드러난다. - 위에서 무엇을 보든 자동생각이 떠오른다고 하였다. 그러하면 방법은 무엇이건 아니 보면 되지..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2.25
삼매 - 제13장 무심삼매에서는 생각이 다 끊어진다-1 제13장 무심삼매에서는 생각이 다 끊어진다(사라진다) - 생각이란 기본단위가 주관과 객관이다. 컴퓨터가 존재하려면 0 과 1 이라는 두개의 숫자가 필요하다. 즉 컴퓨터는 이진법이다. 이것이 정보의 최소단위이다. 생각은 정보의 확대개념으로 볼 수 있다. 누군가 생각을 하려면 최소단위..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2.22
삼매 - 제12장 일심삼매와 무심삼매 제3부 삼매(三昧, Samadi, 禪定) 제12장 일심삼매(一心三昧)와 무심삼매(無心三昧) - 삼매(三昧)에는 일심(一心)삼매와 무심(無心)삼매가 있다. 일심삼매란 생각이, 번뇌가 “사라지는” 상태이다. 무심삼매란 생각이, 번뇌가 “사라진” 상태이다. - 그러하므로 본성(참나, 본마음)이 드러나..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2.21
삼매 - 제11장 무아와 아트만-2 듣기로 헤겔의 변증법에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있다고 한다.(들은 이야기라 사실 여부는 알 수가 없다.) 씨앗이 있다 ------------스스로 씨앗임을 부정 한다 ------------꽃이 된다. 위의 것을 정반합이라고 한다고 들었다. 영혼이 있다 ----------- 스스로 영혼(개아)임을 부정 한다 --------전체가 ..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2.20
삼매 - 제11장 무아와 아트만-1 제11장 무아(無我)와 아트만(atman, 개아의 순수영혼) - - 무아<비아(非我)-오온은 실체(자아)가 아니다>와 아트만의 관계에 대하여 아래 그림에서 살펴보자 - (그림) - - 위의 그림에서 본다면 아트만과 무아는 공히 개아의 번뇌가 있다고 여긴다. 그것을 닦으면 아트만(개아의 순수영혼)..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2.19
삼매 - 제10장 전체자와 부분자의 관계 - 여기서 불교의 삼법인(三法印)을 한번 이야기 해본다.<초기원음경전(빠알리 니까야)에는 '삼특상'이라 한다> - 제행무상(諸行無常)<제행비상-모든 형성된 것은 항상하지 않는다> - 한자 그대로 해석 한다면 “모든 다니는 것들은 항상 하지 아니한다” 이다. - 행(行)자를 해석하.. 순일선원/순일스님저서 201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