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āna/자나 n<중성>[sk. dhyāna. cf<참조>jhāyati] 1)선(禪). 선나(禪那). 명상(冥想). 사유수(思惟修). 정려(靜慮). 선정(禪定).[선정들 가운데 중요한 네 가지 선정(四禪)의 과정이 있다. 1. 첫 번째 선정에서는 대상 지향적인 감각적 욕망을 떠나고 초선에 도달한 자에게는 지칭적 언어표현이 소멸하고 개념화된 언어<?>로 대상을 이해하는 사유나 숙고가 나타나고, 2. 두 번째 선정의 과정에서는 사유와 숙고가 다른 요소보다 다듬어지지 않은 존재로서 제거된다. 더욱 깊은 심일경성(心一境性)을 속성으로하는 삼매에서 생겨나는 더욱 커다란 희열과 행복이 생겨난다. 3. 세 번째 선정의 과정에서 희열은 거친 것으로 제거되고 더욱 심화된 행복과 심일경성만이 남는다. 이때에 평정이 나타나고 알아차림과 새김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4. 네 번째 선정에서 거칠게 지각되는 육체적인 행복이 제거되고 평정하고 새김이 있고 청정한 상태에 도달한다. 이때에 호흡이 소멸하게 된다]. 2)n.[cf. jhāyati] 큰 화재. 화사(火事).
-jhānaaṅga 선정의 구성요소. 선지(禪支)[다섯 가지 장애(五障)이 제거되고 나타나는 다섯 가지 선정(五禪支)].
-jhānaāgāra 명상의 집. 선당(禪堂).
-jhānaānuyatta 선정에 전념하는.
-jhānaābhiṅṅā 선정에 의한 초월적 지혜·신통(神通)
-jhānaupekkha 선정의 평온. 선사(禪捨).
-jhānakīḷā 선정을 즐김.
-jhānapaccaya 명상조건. 선연(禪緣).[마음의 집중을 유지하게 하는 조건].
-jhānapasuta 선정에 열심인.
-jhānarata 선정을 좋아하는.
-jhānarati 선정의 즐거움.
-jhānavimmokkha 선정을 통한 해탈. 정려해탈(靜慮解脫).
-jhānavisaya 선정의 대상. 선정의 경계. 선경계(禪境界).
-jhānasampayutta 선정과 관계된. 선상응(禪相應).
-jhānasahagata 선정에 수반하는.
-jhānasīlin 선(禪)을 습관으로 하는.
jhānika/자니까 adj.[jhāna-ika] 선정(禪定)의. 선정에 속하는. 선정을 닦는.
jhāyati/자야티 1)[sk. dhyāyati dhyai] 명상하다. 사유하다. 탐구하다. 선(禪)을 수행하다. 2)[sk.kṣāyati kṣai]태우다. 점화하다. 화장하다. 소모하다.
jhāyana/자야나 1)n.[<jhāyati] 사유. 숙려(熟廬). 선정. 2)[<jhaiyati]점화. 화장.
jhāyin/자야인 adj. m. [<jhāyati]명상하는 사람. 선수행자(禪修行者).
jhiyāya/지야야 [jhāyati의 abs] 1)선(禪을) 닦고. 2)선사(禪思)하고.
jhiyāyati/지야야띠 [=jhāyati] 1)선(禪)을 닦다. 2)선사(禪思)하다.
[빠알리어 사전]-한국빠알리성전협회-퇴현 전재성 편저
'초기불교경전 > 빠알리어학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성(쌍카라), 무위(아쌍카라) (0) | 2013.03.21 |
---|---|
해탈(닙바나), 열반(위무띠, 위목카) (0) | 2013.03.20 |
사성제(四聖諦 Cattāri Ariyasaccāni) (0) | 2013.03.08 |
계(실라), 율(위나야), 계율의 항목(빠띠목카) (0) | 2013.03.07 |
사마디(삼매 samādhi),사마타(지 samatha),위빠싸나(관 vipassanā) (0) | 201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