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경전/빠알리어학실

사성제(四聖諦 Cattāri Ariyasaccāni)

순일자재 2013. 3. 8. 11:56

 

Cattāri Ariyasaccāni(짯따리 아리야 삿짜니)/四聖諦(사성제)/The Four Noble Truths

 

catu|catur/짜뚜르 num<numeral 수사(數詞)>

4. 넷. 사(四)

cattāro/짯따로 num<수사>m<남성>,

catasso/짯따쏘 f<여성>,

cattāri/짯따리 n<중성>

-cattāro aggappasāda/짯따로 아가빠싸다 네 가지 최상의 믿음[부처님에 대한 믿음(buddhe pasannā). 길에 대한 믿음(magge pasannā). 가르침에 대한 믿음(dhamme pasannā). 참모임에 대한 믿음(saṅghe pasannā)].

 

-cattāro anariyavohārā/짜뚜로 아나리야보하라 네 가지 고귀하지 못한 말. 사비성언(四非聖言)[망어, 양어, 악어, 기어].

-cattāro ariyavohārā/짜뚜로 아리야보하라 네 가지 고귀한 말. 사성언(四聖言).[불망어, 불양어, 불악어, 불기어].

 

-cattāro arūpā/짜뚜로 아루빠 네 가지 물질적 속박을 넘어선 선정의 경지, 네 가지 비물질적 세계. 사무색(四無色)[무한공간의 세계(空無邊處:ākasānaṅcāyatana/아카싸난짜야타나), 무한의식의 세계(識無邊處:viṅṅānaṅcāyatana/윈냐난차야타나), 아무 것도 없는 세계(無所有處:ākiṅcaṅṅāyatana/아킨찬난야타나), 지각하는 것도 아니고 지각하지 않는 것도 아닌 세계(非想非非想處:nevasaṅṅānāsaṅṅāyatana/네와산냔아산냐야타나)].

-cattāro arūpājjhānā/짜뚜로 아루빠자냐 네 가지 빗물질계의 선정. 사무색선(四無色禪).=cattāro arūpā

 

-cattāro āsavā/짜뚜로 아사와 네 가지 번뇌(四漏).[감각적 쾌락에 욕망에 대한 번뇌(慾漏:kāmāsava), 존재에 대한 번뇌(有漏:bhavāsava), 견해에 의한 번뇌(見漏:diṭṭhāsava), 무명에 의한 번뇌(無明漏:avijjāsava)].

-cattāro yogā/짜뚜로 요가 네 가지 멍에, 사액(四軛).[감각적 쾌락에 욕망의 멍에(慾軛:kāmayoga), 존재의 멍에(有軛:bhavayoga), 견해의 멍에(見軛:diṭṭhiyoga), 무명의 멍에(無明軛:avijjāyoga)].

 

-cattāro āhārā 네 가지 자양. 사식(四食).[거칠거나 미세한 먹을 수 있는 자양(?細食), 접촉의 자양(觸食), 정신적 의도의 자양(意思食), 의식의 자양(識食:viṅṅānāhāra)].

 

-cattāro iddhipādā/짜투로 이디빠다 초월적 능력의 기초. 사신족(四神足)[의욕|정진|마음|탐구·에서 비롯한 집중과 노력으로 형성되는 신통의 기초(慾|勤|心|觀·三摩地勤行成就神足:chanda|viriya|citta|vīmaṃsa·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iddhipāda)]

 

-cattāro oghā 네 가지 거센 흐름. 사폭류(四暴流).[감각적 쾌락의 욕망이 거센 흐름(慾流 kāmogha), 존재의 거센 흐름(有流 bhavogho), 견해의 거센 흐름(見流 diṭṭogho), 무명의 거센 흐름(無明流 avijjogho)]

 

-cattāro cittavipallāsā/찌따위빨라싸 네 가지 마음의 전도. 사심전도(四心顚倒)[무상에 대하여 항상하다고 여기는 마음의 전도(anicce niccanti cittavipallāsa), 괴로움에 대하여 즐겁다고 여기는 마음의 전도(dukkhe sukhanti cittavipallāsa), 실체 없음에 대하여 실체가 있다고 여기는 마음의 전도(anattani attāti cittavipallāsa), 더러운 것에 대하여 청정하다고 여기는 마음의 전도(asubhe subhanti cittavipallāsa)].

-cattāro diṭṭhivipallāsa/딧띠위빨라싸 네 가지 견해의 전도. 사견전도(四見顚倒).<사심전도와 동일(마음->견해)>

-cattāro saṅṅāvipallāsā/산냐위빨라싸 네 가지 지각의 전도. 사상전도(四想顚倒).<사심전도와 동일(마음->지각)>

 

-cattāro dhammakkhandhā/담마깐다 네 가지 주요한 가르침의 다발. 사법온(四法蘊).[계행의 다발(械蘊:sīlakkhandha), 삼매의 다발(定蘊:samādhikkhandha), 지혜의 다발(慧蘊:paṅṅakkhandha), 해탈의 다발(解脫蘊:vimmuttikkhandha)].

 

-cattāro brahmavihārā/브라흐마위하라 네 가지 청정한 삶. 네 가지 하느님과 함께 하는 삶. 사범주(四梵住).[자애(慈:mettā), 연민(悲:karuṇā), 기쁨(喜:muditā), 평정(捨:upekkhā)] 동의어 catasso appamaṅṅāyo(네 가지 한량없음. 사무량)=cattari appamāṇacittāni(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 사무량심).

 

-cattāro satīpaṭṭhānā/싸티빠따냐 네 가지 새김의 토대. 네 가지 새김의 확립. 사념처(四念處).[몸|느낌|마음|사실-에 대한 관찰(身|受|心|法-念處:kāyā|vedanā|cittā|dhammā-nupassanā)].

 

-cattāro sammappadhānā 네 가지 올바른 정근. 사정근(四正勤).[제어|버림|수행|수호-의 노력(律儀|斷|修|守護-勤:saṃvara|pahāna|bhavāna|anurakkaṇā-ppadhāna)].

---------------------------------

catasso/짯따쏘 f<여성>

 

-catasso saṅṅā 네 가지 지각. 사상(四想).[감각적 쾌락의 욕망에 메인 지각(慾想:kāmasaṅṅā), 분노에 메인 지각(?想:vyāpādasaṅṅā), 폭력에 메인 지각(害想:vihiṃsāsaṅṅā), 견해에 메인 지각(見想:diṭṭhisaṅṅā)].

 

-catasso samādhibhāvanā 네 가지 삼매의 수행. 사정수(四定修).[현세에서의 행복한 삶으로 이끄는 삼매의 수행(diṭṭhadhammasukhavihārāya samādhibhāvanā:四禪定에 듦), 앎과 봄의 성취로 이끄는 삼매의 수행(ṅāṇadassanapaṭilābhāya samādhibhāvanā:光明想의 확립), 새김의 확립과 올바른 알아차림으로 이끄는 삼매의 수행(satisampajaṅṅāya samādhibhāvanā:受想行의 자각적 생멸의 인식), 번뇌의 부숨으로 이끄는 삼매의 수행(āsavānakkhayāya samādhibhāvanā:五取蘊의 생멸의 관찰)].

--------------------------------- 

cattāri/짯따리 n<중성>

 

-cattāri agatigamanāni/아가티가마냐니 네 가지 행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실천. 사불행처행(四不行處行).[욕망|분노|어리석음|두려움에 의해 비도를 행하는 것].

 

-cattāri acinteyyāni 네 가지 불가사의. 사불가사의(四不可思議).[부처님의 경계(佛境界:buddhavisaya), 선정의 경계(禪境界:jhānavisaya), 업의 경계(業境界:kammavisaya), 세계에 대한 사유(世間思惟:lokacintā)].

 

-cattāri ariyasaccāni 네 가지 거룩한 진리. 사성제(四聖諦)[괴로움의 거룩한 진리(苦성제:dukkhāriyasacca), 괴로움의 발생의 거룩한 진리(集성제:dukkhasamudayāriyasacca), 괴로움의 소멸의 거룩한 진리(滅성제:dukkhanirodhāriyasacca),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의 거룩한 진리(道성제:dukkhanirodhagāminīpaṭipadāriyasacca)].

 

-cattāri upādānāni 네 가지 집착. 사취(四取).[감각적 쾌락의 욕망에 대한 집착(慾取:kāmūpādāna), 견해에 대한 집착(見取:diṭṭhūpādāna), 규범과 금계에 대한 집착(戒禁取:sīlabbatūpādāna), 자아이론에 대한 집착(我語取:attavādūpādāna)].

 

-cattāri jhānāni 미세한 물질계(色界)의 네 가지 선정. 사정려(四精廬)=사선(四禪)[첫 번째 선정(初禪:paṭhamajjhāna), 두 번째 선정(二禪:dutiyajjhāna), 세 번째 선정(三禪:tatiyajjhāna), 네 번째 선정(四禪:catutthajjhāna)].

 

-cattāri purisayugāni aṭṭhapurisapuggalā/짯따리 뿌리싸유가니 아따뿌리싸뿌갈라 네 쌍으로 여덟이 되는 참사람. 사쌍팔배(四雙八輩).[1.흐름에 드는 길을 가는 님(預流向:sotāpattimagga), 2.흐름에 든 경지에 도달한 님(預流果:sotāpattiphala)=흐름에 든 님(預流者:sotāpattipanna), 3.한번 돌아오는 길을 가는 님(一來向:sakadāgāmimagga), 4.한번 돌아오는 경지에 도달한 님(一來果:sakadāgāmiphala)=한번 돌아오는 님(一來者:sakadāgāmin), 5.돌아오지 않는 길을 가는 님(不還向:anāgamīmagga), 6.돌아오지 않는 경지에 도달한 님(不還果:anāgamīphala)=돌아오지 않는 님(不還者:anāgamin), 7.거룩한 길을 가는 님(阿羅漢向:arahattamagga), 8.거룩한 경지에 도달한 님(阿羅漢果:arahattaphala)=거룩한 님(阿羅漢:arahant)].

 

-cattāri saccāni 네 가지 진리. 사제(四諦)[고제, 집제, 멸제, 도제]=사성제

----------------------------------

ariya/아리야 adj<형용사>m<남성> [sk. ārya-ayira, ayya]

1)아리안족에 속하는. 아리안 어를 말하는.

2)귀족계급의. 높은 신분의.

3)(도덕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탁월한. 고귀한. 신성한. 올바른. 선한. 이상적인.

4)아리안 족. 아리안족의 언어. 귀족계금. 고귀한 님. 성자(聖者). pl<복수?> nom<nominative 주격> ariyāse.

-ariyaaṅjasa 직접적인 고귀한 길.

-ariyaaṭṭhaṅgikamagga/아리야땅기까막가 여덟 가지 고귀한 길. 팔성도(八聖道). 팔정도(八正道).

-ariyaṅāṇa/아리야냐나 고귀한 앎.

-ariyadhamma 고귀한 님의 실천. 성스러운 가르침. 성법(聖法).

-ariyapuggala 고귀한 참사람, 성인(聖人).

-ariyamagga 고귀한 길. 성도(聖道).

-ariyavihāra 성스러운 거처. 고귀한 삶. 성주(聖住)[경지의 성취].

-ariyasaṅgha 고귀한 님들의 모임. 성자승가[사쌍팔배].

-ariyasacca/아리야쌋짜 거룩한 진리. 성제(聖諦).

-------------------------------------

saccāni/쌋짜니 sacca의 복수형<plural>

sacca/쌋짜 n<중성>[sk.satya. sat-ya].

1)진실. 진리, 제(諦)[네 가지 진리(四諦:cattāri saccāni)와 관련해서;고제(dukkhasacca), 집제(samudayasacca), 멸제(nirodhasacca), 도제(maggasacca).

2)배움. 지식. nom<nominative 주격> saccaṃ 진리, 진실은. acc<accusetive 대격. 목적격> saccaṃ adv<adverb 부사> 참으로. 확실히. abl<ablative 탈격> saccato 정말로. 실제로. pl<복수형>saccāni

-saccagira 진실한 말. 제어(諦語). 진실어(眞實語).=saccavada

-saccaṅāṇa 제지(諦智). 진리에 대한 앎.

-saccaniddesa 진리의 해석.

-saccapaṅṅatti 진리의 시설(施設).

-saccapaṭivedha 진리의 꿰뚫음. 

-saccapāramī|saccapāramitā 진리의 완성. 제바라밀(諦波羅密)

-saccavibhaṅga 진리의 분별. 제분별(諦分別).


*ṃ:본래 사전에는 m자 위에 점이 있음(자판에 철자가 없어 대신 사용함)

출처

[진흙속의 연꽃]http://blog.daum.net/bolee591/16154779

[빠알리어 사전]-한국빠알리성전협회-퇴현 전재성 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