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lava:an important ancient script from South India.
저자;이안 제임스, 번역;크메르의 세계
개요
'빨라와(Pallava,팔라바)라는 이름은 고대 인도 남부지방 대부분을 장악했던 한 끄싸뜨리야(무사계급) 왕조의 지배시대를 역사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이 시기는 대충 3~5세기 사이이고 이 왕조의 세력은 필리핀과 보르네오 섬에 이르기까지 출현했었다..
이 문자는 원래 고대 인도의 브라흐미(Brahmi)문자를 근거로 만든 것으로 유라시아 대륙 남동부 지역의 원초적 표기체계가 되었다. 빨라와 인들은 브라흐미 문자로부터 미학적으로 보다 아름답게 조합된 자음 기호들을 만들어냈고, 이러한 사고방식을 모음에도 적용시켜, 모음이 자음에 겹쳐지게 한다든지 혹은 복자음 등의 결합쌍이 한 음절의 문자조합에 나타날 수 있게 하였다.
물결치는 듯한 긴 꼬리의 매력적인 모습에 멋들어진 공간적 배치구조라는 특징 덕분에, 이 문자는 곧 남인도 전체는 물론 동남아시아에까지도 급속히 전파되었다.
원래 이 문자는 산스끄리뜨 및 다양한 형태의 쁘라끄리띠(Prakrit, 빨리어나 기타 속어들)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하지만 이 문자가 대단히 인상적인 모습을 갖고 있어서 이후 500년 동안 수많은 비문들과 기념물들을 새기는 데 사용되었고, 이 문자의 변형 및 개량형들이 동남아시아의
대부분 언어들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이다.
(언어학적으로 사용되는 산스끄리뜨어 단어 '쁘라끄리뜨<속어>란 소위 성스러운 언어를 자처하는 '산스끄리뜨<범어>'에 대비되는 용어이다. 인도문화권에서 종교, 법률, 철학 및 기타 학문적 대화나 문헌들은 대부분 산스끄리뜨어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언어는 유럽문화권에서 라틴어가 차지하는 역할과 유사하게 주로 브라흐만이나 끄사뜨리아 계급 출신과 지식인이나 종교인들만 사용하던 언어였다. 하지만 일반서민들은 자신의 거주지역의 방언이나 대중적 언어들을 사용하였다. 현재에도 인도에는 1000종 이상의 방언들이 존재한다. ')
'초기불교경전 > 빠알리어학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연상윳따, 연기 경(SN 12.1)-12연기(괴로움)의 일어남 (0) | 2012.12.23 |
---|---|
인연상윳따. 연기경(SN 12.1) 강독1 (0) | 2012.12.22 |
상윳따니까야.천신상윳따,갈대품,숲속의경(SN1.10)-강독 (0) | 2012.12.21 |
8) DN3.5.(디가니까야3.5.)6. (0) | 2012.12.20 |
초급 빨리어 경전 강독 요약정리 (0) | 201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