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해당도서를 요약하고 참고자료(인터넷)등을 덧붙이고 사적인 견해를 포함하여 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저 스스로와 더불어 공부에 참고가 되기 위함입니다.
-출처가 불명확하거나 저의 사견은(파랑색)으로 표시하겠습니다.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내용은 굵은체로 보충설명이 필요한 것은 밑줄(혹은 링크)로 표시하겠습니다.
-‘..’은 생략표시
초급 빨리어 경전 강독
--------------------------------------------------------------------
이 책은 산스끄리뜨와 연관성을 설명하면서 빨리 율장과 경장에서 가려뽑아 해석을 연습할 수 있도록 했다. 독일에서 빨리어를 공부하고 돌아온 백도수씨가 쓴 빨리어 독해서입니다. A.K Warder의 <Introduction to Pali>18과까지의 연습문제를 우리말로 해석하고 경장과 율장에서 장문의 예문을 발췌하며 단어 각각에 동사변화와 격변화를 설명해놓았기 때문에 빨리어 사전을 일일히 찾는 번거로움 없이 빨리 예문을 독해해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문법설명이 매우 빈약하기 때문에 별도의 빨리어 문법서를 다시 구비해야 하고 A.K Warder의 <Introduction to Pali>에서 뽑은 연습문제의 우리말 번역에 적지 않은 오류가 있습니다. [이상 참고소개글]
<목차>
1장 빨리어의 개요
Ⅰ. 빨리어의 이해
불경은 구전되어 오다 아쇼카와 3차 결집 시에 삼장이 형성 기원전 약 80년경에 문자화 되었다. 빨리어는 인도 (북)동쪽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형성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산스끄리뜨(梵語-‘범’은 브라흐마의 음역으로 신의 언어라는 의미, 빨리어와 동일한 고대 배다어{고대 인도 배다 경전에 사용된 언어}의 뿌리를 갖는다. BC.5세기경 문법학자 빠니니에 의해 체계화됨.)와 비교해 볼 때 빨리어의 특징은 ‘단순화’라 할 수 있다.. 대승적 불교 이해방식이라는 선입관이 오히려 빨리어 경전 이해에 장애가 될 수 있다..
Ⅱ. 빨리어 경전의 이해방법
1.판본비교
싱할리 문자는 스리랑카에서 사용되었으며 스리랑카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기원전 3세기 경이며.. 주석서 문헌을 포함한 스리랑카 상좌부 불교의 방대한 경전은 싱할리 문자로 쓰여졌고 그 언어는 Ārdha-Māgadhi (반마가다어로 마가다어와 유사함, 부처님께서 마가다지방에서 법을 설하셨기 때문에 빨리어를 마가다어로 여겼으나 후에 마가다어와 빨리어가 다소 차이가 있음이 밝혀져 빨리어를 ‘半마가다어’라 칭함)
방언에 가까운 빨리어(Pāli)이다. 빨리어 경전 편집은 5세기에 완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10세기 미얀마는 소승과 대승이 함께 융성했으나 11,12세기 사이에 스리랑카의 영향으로 소승불교화 되었다. 원래 소승불교의 빨리어 경전을 스리랑카로부터 넘겨받았으나 싱할리 문자 대신에 자신들의 고유한 문자 즉 빨리어 문자를 사용했다. 미얀마에서 빨리어 문자는 고전미얀마 빨리어-사각형문자, 성스러운 책에 쓰여진 붓글씨 문자 그리고 보통의 활자체인 패엽경 문자등 세가지로 구분된다. 태국(시암)의 빨리어 문자는 붓글씨 문자이며 보로맛 필사본과 빠띠못카 필사본이 있다. 통속적인 시암문자는 처음으로 1283년 수코타이의 람콩행 왕의 비문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빨리어 경전을 보려고 할 경우 아래와 같은 빨리어 경전의 여러 가지 판본을 비교할 수 있다.
1) Pali Text Society Oxford
2) Simon Hewavitarne Bequest Series the Tripiṭaka Pubulication Press, Sri Lanka
3) Chaṭṭhasaṅgāyana edition Burma
4) Thai Royal edition, Thailand
5) the Nālandā and other edition of India
이 가운데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것은 PTS본이라고 할 수 있으며 PTS본은 여러 나라 판본을 비교해 비판적으로 편집한 것으로 로마자(라틴어)로 쓰여져 있다. 다른 편집본 중에서 일반적으로 기준이 되며 정확한 것은 미얀마본이며 다음이 싱할리본, 태국본을 참고 대조하는 것이 좋다..
2.빨리어경전의 개략
빨리어 경전은 태라바다(Theravāda : 上座部)에 속하는 주요한 경전으로 구전되어 오던 것이 기원 전 약 80년경 문자로 쓰여졌다. 빨리어경전은 경‧율‧론 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석서(Aṭṭhakathā)와 소주(Ṭīkā)도 여기에 포함된다. 율장은 아래(생략)와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경장은 오부로 소부에는 15경이 있다. 논장은 7론이 있으며 후에 여러 논서가 첨가되었다. 기타 역사에 관한 경전과 불전외 문학이 있다..
3. 번역상의 난제
..복합어는 수와 격에 의해서 정확한 변역을 해야 하므로 번역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오류를 범하기가 쉬울 뿐 아니라 단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도 간단하지 않다..
4. 비교연구
경전을 이해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비교연구라고 할 수 있다. 빨리어 경전으로 산스끄리뜨경전, 한문경전 등과 비교(빨리어본 산스끄리뜨본, 한문본 등이 각각 약간 상이한 내용을 담고 있다)할 수도 있으며 빨리어 경전내에서도 경전구조, 문장형식, 내용, 단어 등 상호비교하여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2장 문법 해설편
3장 기초 강독Ⅰ
4장 기초 강독Ⅱ
빨리어 경전의 강독방법에 대하여
빨리어는 산스끄리뜨 자모처럼 고유한 것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로마자(라틴어-영어 알파벳)로 사용된 표기를 사용하면 된다. 다만 여러 나라의 빨리어 경전이 있기에 빨리어 경전을 깊이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미얀마어, 싱할리어, 태국어등 남방언어를 배워야 한다.. 빨리어 문장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말의 어순과 비슷하지만 여러 가지 예외가 있다.
예를 들면 긴 형용사구는 뒤에 오기도 하고, 정확한 장소에 대해 보충설명할 때 동사 뒤에 오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의문사 등 빨리어 문장구조에 주의해야 한다. 단어와 문법은 문장속에서 배우고 부족한 문법을 빨리어문법서를 통해 때때로 보충하면 된다. 처음에는 정독법을 택하는 것이 좋으며 그 방법은 철저하게 단어들과 문장을 분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tha kho Mahāpajāpatī Gotami yena bhagavā ten ypasaṃkami, upasaṃ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aṭṭhāsi, ekamantaṃ ṭhitā kho Mahāpajāpatī Gotamī bhagavantaṃ etad avaca” 이 문장에서 동사 ‘말하다(avaca)’를 찾고 동사를 분석한다. avoca는 a-voc-a 3인칭, 단수, Aor.로 vatti가 동사원형이다. 이와 같이 인칭과, 수, 자‧타동사 등을 구분하고 동사원형을 찾는다. ‘누가 말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다음에는 주어 ‘Mahāpajāpatī Gotami(대애도 고타미)’를 찾아 성‧수(여성, 단수-동사가 단수임에 주의)를 분석하고 ‘무엇을 말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다음에 목적어 ‘etad(이것을:여기서는 격:bhagavantaṃ 세존께, 주격수식어:ekamantaṃ ṭhitā 한쪽에 선)’을 첨가식으로 해석하면 된다. 그 밖에 부가된 복합문장도 위의 방식으로 문장을 해석하면 된다.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하여 대애도(大愛導 고타미는 세존께 다가갔다. 다가가고서 세존께 인사드리고 섰다. 한 쪽에 선 대애도 고따미는 세존께 다음과 같이 말씀드렸다.”
정독이 점차 익숙해지면 다독을 시도한다. 빨리어경전은 원래 합송되어 왔기에 반복문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용의 진행이 완만하여 다독을 통해 문장을 암기하기가 좋다. 나해한 문장은 번역본 등을 사용하여 이해하는 것이 좋지만 번역의 오류가 많고 번역자체가 정확하지 않거나 의역인 경우가 있으므로 번역본에만 의존하는 다독은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빨리어 문법을 처음 배우는 자가 경전을 바로 강독하고자 하면 단어 각각에 동사변화나 격변화등을 찾을 수 있는 용어사전(Glossary)이 있는 Pāli Leader를 강독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초기불교경전 > 빠알리어학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연상윳따, 연기 경(SN 12.1)-12연기(괴로움)의 일어남 (0) | 2012.12.23 |
---|---|
인연상윳따. 연기경(SN 12.1) 강독1 (0) | 2012.12.22 |
상윳따니까야.천신상윳따,갈대품,숲속의경(SN1.10)-강독 (0) | 2012.12.21 |
8) DN3.5.(디가니까야3.5.)6. (0) | 2012.12.20 |
빨라와, 빨리어, 산스끄리뜨, 프락끄리뜨 (0) | 201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