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경전/빠알리어학실

abhijanati(아비자나티)통달지

순일자재 2013. 6. 30. 14:06

abhijanati, 통달지

 

(인터넷등을 검색하여 대략 모아놓아 정리가 부족하지만 참고로 올립니다)

 

‘정신-물질의 과정을 아는 것’을 초기경전에서 말하기를 ‘최상의 지혜’를 안다고 말한다. 최상의 지혜를 경전에서 빠알리어로 ‘아비쟈나띠(abhijanati)’라 하고 주석서에서는 빠일리어로 ‘빠린야(parinna)’라 한다. 빠린야를 우리말로 옮기면 ‘통달지’가 된다. 곧 정신-물질의 과정을 아는 것이 통달지가 되는 것이다. 그런 통달지는 다음과 같은 지혜를 아는 것으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정신과 물질을 구별하는 지혜이다. 둘째, 원인과 결과를 구별하는 지혜이다.

------------

유학비구는 열반을 열반이라고 잘 안다.(abhijanati)

-------

Description: abhijānāti : [abhi + ñā + nā] knows fully or by experience; is aware.

Description: abhijānāti([abhi全面]+[jānāti知]): 全面知(古譯:證知)

{單1現在式abhijānāmi; 單3aor. abbhaññāsi; 複3aor. abbhaññaṃsu; pp. abhiññāta; ger. abhiññāya, abhiññā}

Description: Abhijānāti [abhi + jñā, cp. jānāti & abhiññā] to know by experience, to know fully or thoroughly, to recognise, know of (c. acc.), to be conscious or aware of D i.143; S ii.58, 105, 219, 278; iii.59, 91; iv.50, 324, 399; v.52, 176, 282, 299; Sn 1117 (diṭṭhiŋ Gotamassa na a.); J iv.142; Pv ii.710 = ii.103 (nɔābhijānāmi bhuttaŋ vā pītaŋ); Sdhp 550; etc. -- Pot. abhijāneyya Nd2 78a, & abhijaññā Sn 917, 1059 (= jāneyyāsi SnA 592); aor. abhaññāsi Sn p. 16. -- ppr. abhijānaŋ S iv.19, 89; Sn 788 (= ˚jānanto C.), 1114 (= ˚jānanto Nd2 78b) abhijānitva DhA iv.233; abhiññāya S iv.16; v.392; Sn 534 (sabbadhammaŋ), 743 (jātikkhayaŋ), 1115, 1148; It 91 (dhammaŋ); Dh 166 (atta -- d -- atthaŋ); freq. in phrase sayaŋ abhiññāya from personal knowledge or self -- experience It 97 (v.l. abhiññā); Dh 353; and abhiññā [short form, like ādā for ādāya, cp. upādā] in phrase sayaŋ abhiññā D i.31 (+ sacchikatvā); S ii.217; It 97 (v.l. for ˚abhiññāya), in abhiññā -- vosita perfected by highest knowledge S i.167 = 175 = Dh 423 ("master of supernormal lore" Mrs Rh. D. in kindred S. p. 208; cp. also DhA iv.233); It 47 = 61 = 81, and perhaps also in phrase sabbaŋ abhiññapariññeyya S iv.29. -- grd. abhiññeyya S iv.29; Sn 558 (˚ŋ abhiññātaŋ known is the knowable); Nd2 s.v.; DhA iv.233. -- pp. abhiññāta (q. v.).

-------------------

아비(abhi)에는 ‘향하여, 대하여’라는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나게, 매우’라는 의미도 있으며 이로부터 아비달마는 ‘훌륭한 법’으로 해석하는 설도 대두되었다

--------------------

초기경에서 자나띠(janati, 알다)라는 동사와 밀접한 관계로 나타나는 동사가 빳사띠(passati, 보다)다. 이런 자나띠-빳사띠(janati-passati)의 구문은 수행과 관련해서 아주 많이 나타나며 이 경우에는 예외 없이 항상 ‘자나띠-빳사띠(안다-본다)의 순서로 나타나고 이것이 명사화되면 냐나닷사나(nana-dassana, 지와 견, 지견)로 정착이 되며 이것은 본서의 핵심인 다섯 가지 청정의 마지막 세 가지를 나타내는 술어로 등장하고 있다.

-----------------

- 'Digham va assasanto Digham assasamiti *pajanati, Digham va passasanto Digham passasamiti *pajanati...'

- 들숨이 길면 그는 들숨이 길다는 것을 *알고, 날숨이 길면 그는 날숨이 길다는 것을 *안다...

 

여기서 '안다' (*pajanati ; 빠자나띠)는 것은 일반적인 앎을 얘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숨이 나가면 나가는 데로 숨이 들어오는 것은 들어오는 데로 아는 것은 명상을 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안다' (=빠자나띠)는 호흡관 뿐만 아니라 경전 내에서 행, 주, 좌, 와를 대상으로 삼을 때 역시 사용되었는데 걸으면서 걷는 다는 것을 그저 안다는 것은 명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느 누구나 걸으면서 걷는 다는 것은 알고있을 테니 말입니다. 문제는 숨쉬며 혹은 걸으며 얼마나 어떻게 아느냐 하는 것일 것입니다.

 

여기서 '빠자나띠'는 '빠' 와 '자나띠' (Pajanati = Pa + janati) 의 합성어로 '안다', '이해한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자나띠'의 의미 역시 '안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 '빠'(Pa)가 붙으면서 강조의 의미가 부여되며 안다는 의미는 훨씬 강해집니다. '빠'는 강조 를 뜻하며 '보통을 넘어서는', '두드러진', '현저한 단계'를 의미합니다.

-----------------------

중부의 M43에 “빤냐(통찰지)는 무엇을 목적으로 합니까?”라는 질문에 대해서 “빤냐(통찰지)는 무엇을 목적으로 합니까?”라는 질문에 대해서 “빤냐(통찰지)는 아빈냐(초월지)를 목적으로 하고 빠린냐(통달지)를 목적으로 하고 빠하나(버림)를 목적으로 합니다.”라고 나타난다. 이처럼 아빈냐(초월지)와 빠린냐(통달지)는 빤냐(통찰지)가 있어야 개발되는 지혜라 할 수 있다.

 

안냐(anna)는 a(이리로, 넘어서)+√ jna에서 파생된 여성명사이다. 경에서는 모든 번뇌를 멸한 구경의 경지를 나타내는 술어로 나타난다. 그래서 본서에서는 ‘구경지’ 혹은 ‘구경의 지혜’로 옮겼다. 즉 “생은 멸했다. 범행은 성취되었다. 할 바를 모두 다했다. 이제 이 이후에 다신 존재하지 않는다고 꿰뚫어 안다.”는 것을 경에서는 안냐(anna)라고 부르고 있다. 그 외에도 동사 아자나띠(ajanati)는 제자들이 세존의 법문을 ‘원숙하게 완전히 다 안다’고 할 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탐욕은 마음의 오염원이다. 증오는 마음의 오염원이다. 미혹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오랜 세월을 이런 법을 설하셨습니다. [이것을] 저는 완전히 알고 있습니다.(M14/i.91)”

-청정도론 해제(대림스님)에서

--------------------------------------------------------

Description: Ājānāti [ā + jānāti] to understand, to know, to learn D i.189; Sn 1064

解釋: ñāṇa: 'knowledge, comprehension, intelligence, insight', is a synonym for paññā (q.v.); see also vipassanā. Ñāṇa (nt.) [from jānāti. See also jānana

-------------------------

aññā

 

出處: Buddhist Dictionary, Manual of Buddhist Terms and Doctrines, by NYANATILOKA MAHATHERA 解釋: aññā: 'highest knowledge', gnosis, refers to the perfect knowledge of the Saint (Arahat; s. ariya-puggala). The following passage occurs frequently in the Suttas , when a monk indicates his attainment of Holiness (Arahatta): "He makes known highest knowledge (aññaṃ byākaroti), thus: 'Rebirth has ceased, fulfilled is the holy life, the task is accomplished, and there is no more of this to come.' "

The 'faculty of highest knowledge' (aññindriya = aññā-indriya; s. indriya), however, is present in six of the eight stages of holiness, that is, beginning with the fruition of Stream-Winning (Sotāpatti-phala) up to the path of Holiness (Arahatta-magga). See Dhs. (PTS) 362-364, 505, 553; Indriya Vibhaṅga; "Path" 162.

 

出處: Pali-English Dictionary, TW Rhys Davids, William Stede, 解釋: Aññā (f.) [Sk. ājñā, = ā + jñā, cp. ājānāti] knowledge, recognition, perfect knowledge, philosophic insight, knowledge par excellence, viz. Arahantship, saving knowledge, gnosis (cp. on term Compend. 176 n. 3 and Psalms of Brethren introd. xxxiii.) M i.445; S i.4 (sammad˚), 24 (aññāya nibbuta); ii.221; v.69, 129 (diṭṭhɔeva dhamme), 133, 237; A iii.82, 143, 192; v.108; It 39 sq., 53, 104; Dh 75, 96; Kh vii.11; Miln 334. -- aññaŋ vyākaroti to manifest ones Arahantship (by a discourse or by mere exclamation) Vin i.183; S ii.51 sq., 120; iv.139; v.222; J i.140; ii.333. See also arahatta.

-- atthika desirous of higher knowledge Pv iv.114. -- ārādhana the attainment of full insight M i.479. -- indriya the faculty of perfect knowledge or of knowledge made perfect D iii.219; S v.204; It 53; Pug 2; Dhs 362, 505, 552; Nett 15, 54, 60. -- citta the thought of gnosis, the intention of gaining Arahantship S ii.267; A iii.437. -- paṭivedha comprehension of insight Vin ii.238. -- vimokkha deliverance by the highest insight Sn 1105, 1107 (Nd2 19: vuccati arahatta -- vimokkho).

 

-------------------------

전생을 기억하는 지혜(宿命通 : pubbennivasanussati - nana)

신통변화의 지혜(神足通 : iddhividha- nana)

신성한 귀의 지혜(神耳通 : dibbasota - nana)

(남의) 마음을 아는 지혜(他心通 : cetopariya - nana)

신성한 눈의 지혜(天眼通 : dibbacakkhu - nana)

모든 번뇌를 소멸하는 지혜(漏盡通 : asavakkhaya - nana)

 

 

빈둥-'빤야(혜,통찰지)'의 동사가 '빠자나띠(꿰뚫어 안다)'인데 '아비자냐띠'(뛰어나게 안다?)와도 유사하며 빠린야(통달지)와 아빈냐(초월지)와도 닿아 있다.

(기타 여러 조언 환영합니다)